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1

내 데이터로 CNN 돌려보기 📌 캡스톤 프로젝트 데이터 준비하기 우리는 6개 클래스를 가지고 있고 어쩌구 근데 지금은 3개 클래스에 대한 데이터만 있어서 일단 세개로만 해보겠음. AWS Sagemaker를 이용할 계획인데, 그러려면 데이터셋을 pkl 파일로 만들어야 한다. 진짜 여기저기 삽질하다가 이 깃헙을 발견하고 따라해봤다! train, valid, test 폴더를 만들고 데이터를 7:2:1의 비율로 넣어주었다. 1. label이 들어간 csv 파일 만들어주기 csv 파일을 만들어주는 코드를 작성했다. import os import natsort import csv import re file_path = 'test/' file_lists = os.listdir(file_path) file_lists = natsort.natsor.. 2020. 9. 9.
네비게이션 바, 화면 이동 응용 해보기 💡 ✏️[Swift] 네비게이션 바, 화면 이동 정리를 바탕으로 해보는 아아아아주 작은 프로젝트(?) 🛠 RED 버튼을 누르면 빨간 화면으로, BLUE 버튼을 누르면 파란 화면으로 가기 전체적인 스토리보드를 그려놓고 시작했다. ✏️[Swift] 네비게이션 바, 화면 이동 에서 했던 것 처럼 하고, 화면만 하나 더 추가했다! RED SCREEN에 대한 RedController, BLUE SCREEN에 대한 BlueController를 추가 ViewController.swift @IBAction func red_btn(_ sender: Any) { if let controller = self.storyboard?.instantiateViewController(identifier: "RedController".. 2020. 9. 9.
[Swift] 웹뷰(WKWebView), 옵셔널 바인딩(optional binding) ⚠️ 블로그 주인장의 뇌용량이 부족하여 적어두는 개인 기록장이므로 말투가 이상할 수 있습니다. 저의 노트 필기를 보고 있다, 생각해 주세요〰️❗️ 📌 Youtube [센치한개발자]님의 swift 강좌 : 웹뷰(WKWebView), 옵셔널 바인딩(optional binding)을 보고 공부하며 정리한 글 입니다. 오늘 만들 것: Move! 버튼을 누르면 다른 화면으로 이동하기 웹 뷰 사용법 url을 찾는다: url string을 준비한다. url → request로 변경: url string을 URL을 거쳐 URLRequest로 만들어준다 req → load: URLRequest를 웹뷰에 뿌려준다. 1, 2번을 먼저 해줬다. let urlString = "https://www.google.com" let .. 2020. 9. 9.
[Swift] 네비게이션 바, 화면 이동 ⚠️ 블로그 주인장의 뇌용량이 부족하여 적어두는 개인 기록장이므로 말투가 이상할 수 있습니다. 저의 노트 필기를 보고 있다, 생각해 주세요〰️❗️ 📌 Youtube [센치한개발자]님의 swift 강좌 : 네비게이션바, 화면이동 을 보고 공부하며 정리한 글 입니다. 오늘 만들 것: Move! 버튼을 누르면 다른 화면으로 이동하기 먼저, Xcode로 새 프로젝트를 만들면 아래와 같이 나타난다. Attributes inspector를 보면 "Is initial View Controller"에 체크 표시되어 있는 걸 볼 수 있음. 이건 앱이 시작되고 스토리보드가 불러와지면 나오는 첫 번째 화면이 이 컨트롤러다〰️ 라는 뜻임! 이 부분이 체크 되면 오른쪽처럼 화살표가 나타나고 체크 안되어 있으면 화살표도 사라짐 .. 2020. 9. 9.
딥러닝 자연어 처리 정리 노트 https://www.youtube.com/watch?v=dKYFfUtij_U&list=PLVNY1HnUlO26qqZznHVWAqjS1fWw0zqnT 1. Bag of Words 1.1 Bag of words는 문장을 숫자로 표현하는 방법 중 하나다. 가방 안에 문장의 단어들을 전부 하나씩 넣는다. "awesome thank you" → awesome 1, thank 1, you 1 "great thank you" → great 1, thank 1, you 1 "not bad not good" → not 2, bad 1, good 1 출현 빈도로 문장을 나타낸다면 숫자로 보일 것이다. "awesome thank you" → [1, 1, 1, 0, 0, 0, 0] "great thank you" → [0,.. 2020. 2. 19.